티스토리 뷰

직장인분들은 매달 급여를 받을 때 4대보험을 제외한 비용을 받습니다

급여에 따라 이 비용은 차이가 있어 잘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

그런데 제대로 책정이 되어 빠지고 있는지 궁금할때가 있습니다

 

 

 

 

 

관련 부서에 직접 물어보기도 조금 애매해서 답답하기도 합니다

하지만 인터넷으로 간단하게 계산을 해보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

이번에는 2017년 4대보험계산기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

 

 

 

 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계산을 해 볼 수 있습니다

 

 

 

 

포털사이트에서 검색을 하시고 홈페이지로 접속해주세요

내연금알아보기도 가능하니 참고하세요

 

 

 

 

 

홈페이지에 접속하면 메뉴들이 많이 있습니다

 

 

 

 

스크롤을 조금 내려보시면 우측에 알아보기 항목이 있습니다

메뉴 중 4대보험 계산기 항목을 선택해주세요

 

 

 

 

그럼 4대보험 계산기 팝업창이 나오게 됩니다

연금보험, 고용보험, 국민건강보험, 산재보험으로 구분되며 각 항목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

먼저 연금보험료부터 계산을 해보면 신고소득월액에 월급여액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

총액은 225,000원으로 근로자와 사용자가 50%씩 부담을 하게 되어 있습니다

기준소득월액에 대한 안내도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

 

 

 

 

다음은 고용보험료 입니다

본인의 근무하는 회사의 근로자 수 선택을 하시고 신고소득월액에 금액을 입력한 후

계산하기를 누르시면 아래에 계산 결과가 나옵니다

근로자 수에 따라서 사업자가 부담하는 비율은 달라집니다

 

 

 

 

국민건강보험 계산입니다

역시 신고소득월액에 금액을 입력하고 계산을 하시면 되고

근로자와 사업주가 각각 3.06% 를 부담해야 합니다

 

 

 

 

끝으로 산재보험료 입니다

각 항목에 맞는 정보를 입력하시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

 

 

 

 

이상 2017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방법을 설명해드렸습니다

직접 하면 복잡한 계산인데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

 

 

 

 

댓글